자료의 종류와 수집 방법에 대해 작성하여 제출하시기 바랍니다.
자료의 종류
1차 자료와 2차 자료
· 1차 자료
-연구목적을 위해 연구자가 ‘직접 조사’하여 얻은 양적 질적 자료
-경비, 인력, 시간 등이 많이 소요되는 반면 본인이 스스로 설계하여 수집된 자료이므로 특정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 유용성이 높음
· 2차 자료
-연구자 이외의 조사자나 조사기관이 자체의 특정 목적 수행을 위해 이미 조사해 높은 것으로ㅆ, 연구자가 직간접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자료
-정부 간행물 자료, 조사기관들의 설문결과 분석, 학술지, 신문잡지 등 이미 발표된 자료
-획득이 용이하고 비용이 저렴한 편이지만 연구자의 연구 목적에 맞지 않게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음
-충분한 표본 수와 합리적인 조사방법을 사용하는 등 공신력이 높기 때문에 자료로써의 신뢰도나 타당도는 연구자가 집적 조사한 1차 자료보다 높은 경우가 많음.
-2차 자료원부터 충분히 조사해보고 필요한 부분에 대해 1차 자료 조사를 하는 것이 합리적임.
2. 메트릭 자료와 비메트릭 자료
· 메트릭 자료(metric data) : 등간척도나 비율척도로 측정된 계량적 수치 자료
· 비메트릭 자료(non-metric data)는 계략적 자료가 아닌 것, 즉 명목, 서열척도로 된 자료를 총칭
◎비메트릭척도(non-metric scale)
1.쌍대비교척도법
예시 : 다음은 5개의 백화점 이름을 이용하여 10개의 ᄊᆞᆼ을 만든 예입니다. 각각의 ᄊᆞᆼ에서 왼쪽에 정렬되어진 백화점을 선호하는 경우는 0으로 표기하고, 위쪽에 나열되어진 백화점을 선호하는 경우는 1로 표기하여 주십시오.
|
백화점 1 |
백화점 2 |
백화점 3 |
백화점 4 |
백화점 5 |
백화점 1 |
|
0 |
0 |
1 |
0 |
백화점 2 |
1 |
|
0 |
1 |
0 |
백화점 3 |
1 |
1 |
|
1 |
1 |
백화점 4 |
0 |
0 |
0 |
|
0 |
백화점 5 |
1 |
1 |
0 |
1 |
|
합계 |
3 |
2 |
0 |
4 |
1 |
2.순위서열척도법
예시 : 다음 기업들을 대상으로 여러분이 느끼고 있는 전반적인 평판에 대한 순위를 적어주십시오. 가장 평판이 좋은 것으로 생각하는 기업은 ‘1’로 가장 평판이 좋지 않은 것으로 생각하는 기업은 ‘5’로 표기하여 주십시오. 두 기업에 같은 순위를 주는 것은 피하여 주십시오.
기업 순위
1.삼성
2.SK
3.LG
4.한화
5.현대
3.고정합척도법
예시 : 다음은 자동차 구입 시 고려되는 5가지 주요 속성입니다. 여러분이 생각하기에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속성에 높은 점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, 총 점수가 100점이 되도록 각 속성에 점수를 할당하여 주십시오. 만약 중요하지 않은 속성이라고 생각하는 경우에는 0점을 할당하고, 어떤 속성이 다른 속성보다 두 배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면, 두 배의 점수를 할당하여 주십시오.
기업 점수
1.제조회사 이름
2.디자인
3.가격
4.연비
5.애프터서비스
총합 100점
◎메트릭 척도(metric scale)
1.연속형 평가척도
예시 :
<예시1> S백화점 고객 서비스를 어ᄄᅠᇂ게 생각하십니까?
가장나쁘다-----------------V-----------------가장좋다
<예시2> S백화점 제품 품질을 어ᄄᅠᇂ게 생각하십니까?
가장나쁘다-----------------V-----------------가장좋다
0 10 20 30 40 50 60 70 80 90 100
2.리커트척도
-연구자는 일반적으로 5개의 카테고리로 나누어 척도를 구성함 ( 4개, 7개 등도 있음)
-한 응답자가 응답한 여러 문항을 합하거나 평균을 계산하여 분석하는 방법도 자주 사용된다.
-이 경우 1)선로를 나타내는 방향으로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, 2) 대상이 되는 문항들이 반드시 단일 차원을 설명라고 있는 하나늬 개념이어야 한다.
리커트척도
예시 : 다음은 H백화점에 대한 의견입니다. 아래의 기준을 이용하여, 여러분이 각 문항에 대하여 어느 정도 동의하는지를 답하여 주십시오.
1 = 매우 동의하지 않는다 2=동의하지 않는다
3 = 보통이다 4 = 동의한다 5 = 매우 동의한다
a.H백화점은 질 좋은 제품을 취급한다 1 2 3 4 5
b.H백화점은 백화점내 서비스가 나쁘다 1 2 3 4 5
c.나는 H백화점에서 쇼핑하는 것이 즐겁다 1 2 3 4 5
d H백화점은 다양한 품목을 취급한다 1 2 3 4 5
3.어의차이척도(semantic differential scale)
두 개의 상반된 형용사적인 표현을 양방향 끝점에 표시하고, 응답자로 하여금 해당하는 항목에 마크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7점 척도를 주로 사용한다.
예시 : 제품 A에 대한 본인의 느낌을 평가하여 주십시오.
1.무겁다 :-----:-----:-----:-----:-----:--V--:-----: 가볍다
2.전통적이다 :-----:--V--:-----:-----:-----:-----:-----: 현대적이다
3. 사용이 편하다 :-----:-----:-----:-----:--V--:-----:-----: 사용이 불편하다
4.스타펠척도
한 가지 개념에 대하여 0점이 없는 –5점에서 +5점 사이의 10점 척도로 측정함
어의차이척도법의 측정값과 비슷한 특성을 가짐
예시 : 다음의 문장이나 단어가 제품 A를 얼마나 정확하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평가하여 주십시오.
제품A
+5 +5
... ...
+1 +1
높은 품질 사용이 편리하다
-1 -1
... ...
-5 -5
메트릭 평가척도 구성에서 고려할 사항
· 몇 점 척도를 사용할 것인가
· 균형된 척도와 뷸균형 척도
· 카테고리 수의 짝수와 홀수 차이
· 응답의 강요성 여부
· 카테고리를 설명하는 표현의 형태
· 척도를 표현하는 형태
1.몇 점 척도를 사용할 것인가
· 보통 5점에서 9점 사이의 척도로 구성
· 응답자가 연구주제에 관련된 문항에 대하여 해박한 전문가 집단이라면 카테고리의수를 많이 하는 것이 좋고, 그 반대의 경우는 적은 것이 좋다.
· 자료수집 방법에 따라서 달라진다. (전화조사의 경우 혼란 방지를 위해 카테고리 수를 적게 함)
· 자료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에 따라서 달라진다. (전반적인 경향을 알고 싶다면 5점 척도, 세밀한 분석을 원한다면 7점 척도)
2.균형된 척도와 뷸균형 척도
· 균형된 척도: 긍정적인 카테고리의 수와 부정적인 카테고리의 수가 같은 경우의 척도
· 불균형 척도: 긍정적인 카테고리의 수와 부정적인 카테고리의 수가 다른 경우의 척도
· 일반적으로는 균형된 척도를 사용하여야 하지만, 응답자의 반응이 긍정적인 방향이나 부정적인 방향으로 치우쳤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는 경우에는 불균형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.
3.카테고리 수의 짝수와 홀수 차이
· 중간의 의미를 척도에 삽입시키는지에 대한 여부는 응답 결과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.
· 중간 태도를 취하는 응답자가 많이 있을 것으로 추측이 되는 연구에서는 반드시 홀수의 카테고리를 사용하여야 한다.
· BUT
1) 중립의 태도를 갖는 응답자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거나,
2) 연구자가 강제로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측명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도록 만들고 싶어한다면 짝수의 카테고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.
4.응답의 강요성 여부
· 강요된 평가척도(forced rating scale)란 ‘무응답’, ‘잘 모르겠다’, ‘의견이 없다’, ‘보통이다’ 등의 카테고리를 척도에서 제거함으로써 응답자에게 반드시 어떠한 의견을 제시하도록 강요하는 척도
· 실제로 의견이 없는 응답자가 많다면 실제보다 낮은 분산을 갖는 분석 결과를 얻게 됨
· 의견이 없는 응답자가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‘무응답’, ‘잘 모르겠다’, ‘의견이 없다’ 등의 카테고리를 척도에 추가시킴으로써 측정값의 정확성을 높여야 한다.
5.카테고리를 설명하는 표현의 형태
· 척도의 카테고리를 설명하는 표현은 수치, 문장, 그림 등이 있다.
· 예를 들어 7점 척도의 측정에서 7점을 ‘전적으로 동의한다’라고 설명하였을 경우는 분산이 적은 뾰족한 분포를 얻게 되겠지만, 7점에 대한 설명을 ‘동의한다’라고 하는 경우 응답 결과의 분포는 분산이 큰 평평한 분포를 얻게 될 것이다.
바람직한 측정척도
· 높은 신뢰성과 타당성을 갖는 측정척도가 바람직하다.
1.명확하고 쉬운 문항: 문항의 내용이 명확하고, 문장이 잘 구성되어 있어야 하며, 하나의 내용만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.
2.모집단에 맞는 문항: 응답자가 문항의 의미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여, 추측을 통하여 응답하는 경우를 없애야 한다.
3.바이어스 요인을 고려한 문항: 예를 들어, 개인의 사생활에 민감한 질문은 응답자로 하여금 방어적으로 만들기 때문에 측정값에 대한 바이어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.